클라우드(Cloud)의 장점
■ 경제성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소유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기간만 서비스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통합 관리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작업 및 데이터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 유연성 :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비해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확장하고, 필요하지 않을 때는 축소하는 등의 유연한 활용이 가능하다.
■ 가용성 :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안의 일부 하드웨어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를 계속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빠른 구축 속도 : 자체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설계 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반면,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신속하게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SaaS(Software as a Service)
* SaaS란 주로 업무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만큼만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이다.
* 하드웨어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까지 구축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작업을 클라우드 사업자가 알아서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계정만 있으며 즉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하기 때문에 PC뿐 아니라 스마트폰과 태블릿으로도 접속이 가능하다.
* 하나의 서비스를 여러 기업에서 공유하는 것을 전제한 멀티 테넌트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PaaS(Platform as a Service)
* PaaS란 기업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이다.
* 하드웨어와 OS, 미들웨어까지 구축되어 있는 플랫폼을 서비스로 이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다. 또한, PaaS에는 Java, PHP, Ruby,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이나 데이터베이스 등이 미리 마련되어 있어 단기간에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IaaS는 CPU나 하드웨어 등의 컴퓨팅 리소스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로 제공하는 모델이다. 대표적인 IaaS 서비스로는 가상 서버 및 온라인 스토리지 등을 들 수 있다. 가상 서버에서는 OS에 설치되는 데이터베이스와 미들웨어, 응용 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지만, 기업 사용자가 스스로 설치하고 관리해야 한다.
* IaaS의 요금 체계는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량에 따른 종량제 혹은 월 정액제를 채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