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욘드데이터(주)

{"type":"img","src":"https://cdn.quv.kr/sr87de2on%2Fup%2F5d5f322273eaa_1920.gif","height":"40"}
  • 회사 소개
  • DB사업부
  • 시스템사업부
  • 플랫폼사업부
  • 고객 센터
  • Report
  • {"google":["Raleway"],"custom":["Noto Sans KR","Jeju Gothic"]}
    ×
     
     
    섹션 설정
    {"type":"img","src":"https://cdn.quv.kr/sr87de2on%2Fup%2F5d5f322273eaa_1920.gif","height":"20"}
  • 회사 소개
  • DB사업부
  • 시스템사업부
  • 플랫폼사업부
  • 고객 센터
  • G Cloud

    G Cloud

    home >  G Cloud

    Enterprise Cloud 개요

    일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비해 더욱 강화된 보안을 요구하는 기업, 공공기관, 금융기관 등이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고객사의 시스템을 public zone과 private zone에 나누어 수용할 수 있습니다.
    IPS(침입방지시스템), FW(방화벽), VPN, 보안관제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Enterprise Cloud 특 ˙ 장점

    1

    고품질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합니다.

    2

    Enterprise Cloud 전용의 IPS (CC인증 EAL4),
    FW(CC인증 EAL3) 을 제공합니다.

    3

    고객사의 중요한 정보를 private zone에 수용함으로써 보안성이 보장됩니다.

    4

    Enterprise 방화벽은 S/W 방화벽(VR) 대비 우수한
    트래픽/세션 성능과, 장애, 침해사고 시 원인 분석이 가능한 로그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5

    물리서버와 Enterprise Cloud를 연동하여
    Hybrid Cloud를 구성 할 수 있습니다.

    Enterprise Cloud는 누가 사용할까요?

    다양한 산업에서 모든 유형의 기업들이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플랫폼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의료, 소매업, 금융 서비스, 제조, 기관 등이 그 예입니다. 

    Enterprise Cloud와 Public Cloud의 차이점

    AWS와 Azure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는 Amazon과 Microsoft가 각각 관리하며, 대부분의 경우 데이터는 데이터센터 외부에 보관됩니다.
    이러한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해당 클라우드의프로세스와 아키텍처를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고 배포하도록 강제합니다.
    엔터프라이즈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하면 두 환경의 장점을 모두 누릴 수 있습니다.
    즉,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에서 퍼블릭 클라우드와 같은 경험을 누리며 비즈니스에 적합한 동급 최고 수준의 기술을 선택하고,
    필요할 경우 퍼블릭 클라우드의 어느 위치에서 원활하게 데이터와 워크로드를 관리할지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Enterprise Cloud와 hybrid Cloud의 차이점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프라이빗 및 퍼블릭 클라우드의 구성 요소를 결합합니다. 기존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가진 문제는 이분법적 구조입니다.
    즉, 기존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한편으로는 최신이면서 최고인 퍼블릭 클라우드 솔루션을 사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레거시 하드웨어를 사용합니다.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솔루션은 클라우드 기술을 온프레미스에 구현하고 이러한 기술이 데이터센터와 엔터프라이즈 퍼블릭 클라우드 내에서 유사하게
    작동하고 운영되도록 합니다.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솔루션은 퍼블릭 클라우드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이점뿐만 아니라 분산 클라우드와
    엣지 클라우드의 이점도 제공합니다.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는 또한 애플리케이션 관리 와 자동화에도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한편,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이보다 덜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G Cloud (공공 클라우드)

    G Cloud(공공클라우드)는 대한민국에서 정부와 관련된 공공기관 및 조직들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공공기관이나 정부 부처들이 자체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거나 운영하는 대신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IT 인프라 및 서비스를 구축, 운영하고자 하는 추세를 반영합니다.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개요

    공공부문 시스템 운영 현황

    공공 부문의 시스템 운영은 중앙정부·지자체·공공 기관들의 필요에 의해 자체 데이터 센터나 전산실에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왔습니다.
    현재 중앙정부의 중요 시스템들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센터(구 정부통합전산센터) 내에 통합되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시스템들은 전국에 산재되어 제 각각 운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공공 정보 시스템에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중앙정부 시스템을 중심으로 행정 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추진해 왔습니다.
    G-Cloud 시스템 구축(2011년)과 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전환(2013년) 등이 그 시작이었습니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어려움

    그러나 전체 1만 5천 개 규모로 전국에 산재된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통합 전략의 부재와 유관 기관들의 이해 관계가 진행을 더디게 했고 정부의 일회성 제품 구매 조달 체계는
    사용량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클라우드의 서비스형 체계와 달라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는 민간 기업들이 초기에 클라우드 전환 시 겪었던 상황과 매우 유사합니다.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의 필요성 증대

    그러나 최근에는 민간 클라우드 도입 보편화, AI 등 신기술 서비스 도입, 코로나로 인한 긴급 시스템 증설과 유연성 확보 필요 등의 시대적인 상황과
    맞물려 공공 정보 시스템들의 클라우드 전환 필요성이 긴박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의 공공 클라우드의 추진 방향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살펴보겠습니다.

    공공 클라우드란?

    공공 클라우드란 정부·지자체·공공 기관에서 운영하는 공공 정보시스템이 구동되는 인프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공 정보 시스템의 유형은?

    먼저, 공공 정보시스템의 유형과 사용자의 유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의 공공 정보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공무원들이 내부 행정·공공망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인트라넷과 업무 시스템 등의 폐쇄적 형태의 내부 시스템이 있습니다.
    둘째, 우리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증명서 발급, 세금 납부, 백신 접종 예약 등 대국민 서비스 시스템이 있습니다.
    공공 시스템의 사용자는 공공 사용자와 대국민 사용자로 나뉘어지며 2020년 말 기준으로 314만 명
    (공무원 113만 명, 준공무원 44만 명, 공공기관 157만 명), 대국민 시스템의 사용자는 전 국민 대상입니다.
    시스템의 규모는 15,365개로 중앙정부 1,667개, 지자체 8,392개, 공공기관 5,310개가 있습니다.

    2020년 말 기준 공공 사업자 및 정보 시스템 현황

    1) ('21)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alio.go.kr)
    2) ('20)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org.go.kr)
    3) ('21.7.27) 행안부 정책발표자료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

    정부의 공공 클라우드 추진 방향

    현재 정부 정책은 "클라우드 퍼스트"에서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존 정부 기관에서는 자체 운영하는 국가정보 자원관리원의
    클라우드 센터와 자체 구축 공공 클라우드를 선호하였고 민간 클라우드는 보안 등을 문제로 사용을 주저하는 상황이었습니다.

    공공 부문의 시스템 운영은 중앙정부·지자체·공공 기관들의 필요에 의해 자체 데이터 센터나 전산실에 개별적으로 구축되어 왔습니다.
    현재 중앙정부의 중요 시스템들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센터(구 정부통합전산센터) 내에 통합되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시스템들은 전국에 산재되어 제 각각 운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공공 정보 시스템에 클라우드를 도입하려는 노력은
    중앙정부 시스템을 중심으로 행정 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추진해 왔습니다. G-Cloud 시스템 구축(2011년)과 정부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전환(2013년) 등이 그 시작이었습니다.

    민간 클라우드 이용 대상 기관 및 정보

    ※ 민간 클라우드 이용 제외 시스템
    ① 국가 안보와 관련된 비밀, 국가 안전, 국방, 통일, 외교·통상 등 국가 중대 이익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시스템.
    ② 범죄 수사, 진행 중 재판, 형의 집행, 보안 처분 등 수사와 재판에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 시스템.
    ③ 행정 기관의 내부적인 업무 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정보 시스템.
    ※ 출저 : 행정안전부 정책자료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

    그러나 현재는 공공기관 자체 운영 센터와 민간 클라우드 활용 센터에서 각각 가능한 서비스 범위를 명확히 구분하여 법·제도 보완을 통해 민간 클라우드 활성화를 우선시하는 정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민간 클라우드의 이용 근거는 2016년 7월에 처음 제정된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이 있으며, 몇 차례개정을 거듭하여 현재는 아래 표와 같이 민간 클라우드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의 범위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공공부문 클라우드 전환 사업 5개년 로드맵

    2020년 말 "행정·공공기관 정보 시스템 클라우드 센터 이전·통합 계획 수립(ISP) 사업"을 통해 행정·공공기관의 정보 시스템 전수 조사가 시행되었습니다. 향후 5년 간('21년~'25년) 100% 클라우드 전환을 목표한 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전환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존에 구축·운영 중인 전체 행정·공공 기관의 정보 시스템 15,369개 중 10,009개의 정보 시스템을 향후 5년 간 클라우드로 전환할 계획입니다.
    이중 제외되는 5,360개 시스템은 현장 설치가 필요한 시스템이거나 별도 추진 중인 차세대 시스템(지방세, 지방재정 등),
    국정 자원 대구 센터 입주 대상 등으로 특성상 클라우드 적용이 불가하거나 적용이 기 계획된 시스템들입니다.
    클라우드 전환은 정보 시스템의 특성에 따라 공공 클라우드와 민간 클라우드로 분산하여 전환됩니다.
    각각 어떠한 기준으로 제공하는지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행정·공공 기관 정보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계획

    ※ 출처 : ('21.7.27) 행안부 정책발표자료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현황 및 계획

    공공 클라우드 – 공공기관 자체 구축·운영 클라우드 센터

    현재까지 행안부에서 지정한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센터, 광주 센터 두 곳이 있습니다.
    향후 국가안보, 수사, 재판, 내부 업무 처리 등 중요도가 높은 정보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행정기관의 장이 데이터 센터의 설치, 운영을 심사합니다. 이 과정과 더불어 행정안전부장관이 추가로 센터를 지정하게 됩니다. 이때, 기존의 행정·공공기관에서 자체 구축·운영하는 데이터 센터를 활용하여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지정합니다. 또한, 지자체는 지역정보통합센터의 준비 상황을 고려하여 공공 클라우드 센터를 지정합니다. 한편, 공공 기관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 센터의 개소 시기('22년)에 입주하는 공공기관 시스템 이전을 고려하여 2021년은 지정을 보류하고
    2022년 이후 수용 부족 공간을 검토 후 지정할 예정입니다.

    기관 유형별 공공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배치 계획

    ※ 출처 : ('21.7.27) 행안부 정책발표자료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계획"

    민간(공공) 클라우드 센터 개념 및 필요 요건
    민간 (공공) 클라우드 –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공공 전용 클라우드 센터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는 CSAP 인증과 디지털 서비스 인증을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공전용으로
    독립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한 후 공공에서 요구하는 보안성, 가용성 등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인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CSAP 인증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보안 수준 적합성을 중점적으로 심사합니다.
    또한, 디지털 서비스 인증은 보안성을 포함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공급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를 심사합니다.
    디지털 서비스 인증 완료 시 행정·공공 기관과 수의 계약 혹은 카탈로그 계약 형태로 공급이 가능합니다.
    CSAP 인증과 디지털 서비스 인증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SAP (Cloud Security Assurance Program)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평가·인증하며 CSP(Cloud Service Provider) 사업자들이 공공 부문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 인증입니다. IaaS, PaaS, SaaS, DaaS 의 부문별 항목 평가를 통해 서비스 적합성을 심사합니다.

    디지털 서비스 전문 계약 제도

    과거 공공기관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공급할 때는 일반적인 제품과 같이 단품 계약 혹은 인건비 계약 등의 일반 경쟁 입찰 용역 계약만 가능하였습니다.
    즉, 실질적으로 서비스형 상품 공급을 위한 제도·체계가 부재하였습니다. 2020.10.1. 법령 개정 후 디지털 서비스 이용 지원 시스템(https://www.digitalmarket.kr)을 통해 서비스형 상품의 계약이 가능해 졌습니다.
    ※ 서비스형 상품 : 사용한 양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상품

    디지털 서비스 인증이 평가하는 것은?

    디지털 서비스 인증은 보안성 심사를 비롯하여 서비스 업체의 공급 능력, 운영 역량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3가지 유형의 서비스에 대해 심사합니다.

    ①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
    ②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③ 융합 서비스 : 클라우드컴퓨팅 + 지능정보기술 기술·서비스

    인증 완료 시에는 행정·공공기관은 인증된 서비스에 대해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와 수의 계약 혹은 시스템을 통한 카탈로그 계약이 가능합니다.

    클라우드서비스 CSAP 보안인증 범위

    4)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5) PaaS(Platform as a Service), 6) SaaS(Software as a Service), 7) DaaS(Desktop as a Service)
    ※ 출처 : 한국인터넷진흥원 클라우드 보안 인증 제도

    법령 개정 전.후 비교: 클라우드 컴퓨팅법, 국가 계약법, 조달 사업법

    ※ 출처 :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digitalmarket.kr)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사업자 및 이용 절차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인증 완료된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 : 가나다(순)

    ※ 출처 : 디지털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digitalmarket.kr)

    디지털서비스이용지원시스템 이용절차

    ※ 출처 : 디지털서비스 a이용지원시스템(digitalmarket.kr)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IaaS) 제공 가능 사업자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증은 IaaS 부문의 인증을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PaaS, SaaS, DaaS 등의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는 반드시
    CSAP 인증을 받은 IaaS 사업자의 클라우드 상에서 서비스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2021년 하반기 기준 클라우드 서비스 (IaaS) 부문의 인증 사업자는 CSAP 인증사 9개, 디지털서비스 인증사 6개가 있으며

    {"google":["Raleway","Lato"],"custom":["Noto Sans KR"]}{"google":["Raleway","Lato"],"custom":["Noto Sans KR","Jeju Gothic"]}
    {"google":[],"custom":["Noto Sans KR"]}